버튜버(VTuber) 활동을 시작하려면, 크게 기획 → 장비/소프트웨어 준비 → 캐릭터 제작 → 방송 환경 세팅 → 콘텐츠 운영의 단계를 거칩니다.
아래에 현실적으로 따라 할 수 있는 순서로 정리해 줄게요.
1. 기획 단계
목표와 컨셉을 먼저 정해야 함
- 활동 목표: 취미인지, 수익 창출이 목적인지
- 캐릭터 성격/세계관: 밝고 귀여운 스타일, 쿨하고 시크한 스타일 등
- 방송 콘텐츠: 게임 방송, 잡담, 노래, ASMR, 학습 콘텐츠 등
- 활동 플랫폼: 유튜브, 트위치, 아프리카TV 등
💡 팁: 인기 있는 버튜버들은 캐릭터의 세계관과 말투가 일관성이 있어 팬들이 몰입하기 좋습니다.
2. 장비 준비
- PC: 게임+방송+트래킹 프로그램을 동시에 돌릴 수 있는 성능(권장 i7 이상, RAM 16GB+, 그래픽카드 RTX 3060 이상)
- 웹캠/카메라: 얼굴 표정 추적용 (로지텍 C922, C930e, 혹은 iPhone의 Face ID 카메라 활용)
- 마이크: 콘덴서 마이크(예: Audio-Technica AT2020, Rode NT1-A)와 팝필터
- 조명: 표정 인식 정확도와 화면 퀄리티를 위해 필수
3. 캐릭터 제작
방법 3가지
- 셀프 제작: Live2D Cubism(2D 모델링)이나 Blender(3D) 사용 — 기술 난이도 높음
- 프리셋 활용: Vroid Studio(무료, 3D 아바타 제작 가능)
- 외주 의뢰: 트위터, 픽시브, Fiverr, 국내 프리랜서 사이트에서 Live2D 모델러에게 의뢰
- 일러스트(PSD) 제작 + Live2D 리깅 비용 = 50만~200만 원 선
4. 소프트웨어 세팅
- 트래킹 & 모델 구동:
- 2D: VTube Studio, Animaze
- 3D: VSeeFace, Luppet, PrprLive
- 방송 송출: OBS Studio(무료)
- 채팅/오버레이: Streamlabs, StreamElements
5. 방송 준비
- 캐릭터 표정/움직임 테스트
- 마이크 음질 조정 (노이즈 제거, 컴프레서 적용)
- 방송 오버레이 디자인 (로고, 채팅창, 알림창)
- 첫 방송 전 리허설 진행
6. 콘텐츠 운영
- 업로드/방송 일정 고정 (예: 매주 화·목·토 밤 9시)
- 팬들과 소통 (트위터, 디스코드 운영)
- 클립 영상, 하이라이트 편집 업로드
- 이벤트 진행 (구독자 1000명 기념, 생일 방송 등)
💡 현실적인 시작법
만약 빠르고 저렴하게 시작하고 싶다면:
- Vroid Studio로 무료 3D 모델 제작
- VSeeFace로 웹캠 트래킹
- OBS Studio로 송출
- 유튜브나 트위치에서 바로 방송 시작
원한다면 제가 "입문자용 버튜버 스타트 키트 가이드" 형태로,
필요 장비 모델명·가격·세팅 순서를 한 장짜리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.
그렇게 하면 바로 장바구니에 넣고 준비 가능해요.
반응형